스마트배전

연구분야 스마트배전

기후변화 대응과 탄소중립등 전력산업의 환경 변화를 능동적으로 대처하기 위하여 신재생e 수용력 확대 및 배전 유연자원화등 에너지효율화 기술개발을 선도하며 미래형 배전망 및 배전계통 시스템 고도화를 주도하고 있다. 배전계획분야에서는 ‘L/MVDC, 양방향 네트워크 배전 기술개발’과 더불어 ‘운영/연계기준등 배전계획 수립 연구’를 수행하고 있고, 배전운영분야에서는 ‘배전계통 단선 고신뢰 검출, 전력설비 상태이상 감시등' 배전설비 안전 및 투자 효율화를 위하여 힘쓰고 있다. 유연자원화분야는 신재생e 확대 및 배전자원 최적 활용을 위하여 ’V1G/V2G, DSO기반 유연자원연계 배전망 운영, MG기술등‘ 배전 유연자원 솔루션 개발에 기여하고 있다. 또한, 프로젝트팀을 별도 운용하며 광역 배전망 분산e 통합 관제 기술(ADMS)과 AMI 시스템 최적화 및 BTM/FTM 서비스 모델 개발을 연구하고 있다.

미래 배전망 설계 및 운영 기술

분산전원 확대에 대응가능한 미래 배전망 도입을 위해 네트워크 배전 운영기술, 직류배전 상용화 기술, 분산형 전원 연계기준 및 운영기준 개정, 배전계획 수립 시스템을 개발하고 있다. 미래 전력산업의 중요 기술로 주목받는 LVDC, MVDC 기술은 분산전원 수용률 향상과 배전손실 저감에 기여할 수 있으며, 네트워크 배전방식은 양방향 전력공급을 통해 공급신뢰도를 높일 수 있을 것으로 기대된다. 이러한 미래 배전망 기술개발과 더불어, 분산전원 연계기준 및 운영기준 개정, 배전계획시스템 개발을 통해 배전계통의 안정도 향상 및 투자비 절감에 기여하고 있다.

배전설비 안전 및 투자 효율화 기술

전력설비로 인한 재난 및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배전계통 단선 고신뢰 검출기술 개발, 극한기상 지역의 배전 설계·시공기준 마련을 위한 실증과 연구를 수행하고 있다. 또한, 신배전망 적용 U-CDS 표준모델 개발 및 시설기준 정립, 케이블 송전용량 동적운전관리 시스템 개발을 통해 배전설비 공급신뢰도 향상을 위한 솔루션을 제시하고 있다. 전력설비 위해요소 사전감시 및 활선상태 이상 점검을 위해 상태추론 기반 배전설비 예지 기술 및 엔진 개발, 활선 PD진단장비 성능검증시스템을 개발하고 있다. 뿐만아니라, DSO(Distribution System Operator) 체계하에서의 망이용요금, 공급지장비용, 전압유지율 관리기준 재정립을 위한 연구수행을 통해 개방형 배전망 운영에 기여하고 있다.

AMI 시스템 최적화 및 BTM·FTM 서비스 모델 개발

2050 탄소중립 이행에 대응하는 효율적인 배전망 운영과 에너지 신사업 활성화를 위하여 AMI(Advanced Metering Infrastructure) 시스템 최적화 기술과 배전망 운영 및 고객 서비스 기술을 개발하고 있다. 전국 단위의 AMI 시스템의 안정적 운영을 위하여 스마트 미터, 지능형 게이트웨이, 모뎀 및 통신·보안기술과 전주기 통합 운영기술 및 표준화 기술을 개발하고 있다. 또한, FTM 및 배전망 운영(DSO) 관점의 다양한 유형의 분산전원체계, 배전지능화시스템, 등과 정보 연계, BTM 관점의 기기통합 실시간 관리체계 구축, 전력 데이터의 인공지능 분석, 단일화된 AMI 표준 운영체계 정립을 위한 AMI기기 SW 표준화 및 서버 프로토콜 통합을 통해 운영 및 구축 비용을 절감하고, 에너지 효율 촉진을 위해 요구되는 최우선 기술을 연구하고 있다.

배전 유연자원화를 위한 솔루션

신재생E 확대와 배전 자원 최적 활용의 필요성에 따라 수요/공급자원 유연제어 및 최적운영 플랫폼 기술 등을 기반으로 계통 유연자원 발굴과 서비스 개발을 하고 있으며, 전기자동차 충전인프라를 활용한 전력망 수요자원화(V1G, V2G) 및 자원예측 기술, x-EMS 기반의 스마트 빌딩 통합운영 기술, DSO 기반의 유연자원 연계 통합 배전망 운영기술, NWAs 지향 MG 및 Sector Coupling 기술 등을 연구하고 있다. 아울러 안정적인 전력공급과 비용 최적화를 위한 솔루션을 개발하고 이를 통해 고객가치를 향상시키는 新전력서비스 산업 생태계 조성에 기여하고 있다.

광역 배전망 분산e 통합 관제 기술

분산형전원의 급격한 확대로 인해 복잡도가 증가하고 있는 배전계통을 안정적이고 효율적으로 운영하기 위해 실시간 계통해석, 작업 관리, 고장처리, 선로 재구성 및 분산형전원 연계 검토 등을 수행하는 차세대 배전운영시스템(Advanced Distribution Management System, ADMS)을 개발하고 있다. ADMS는 배전계통의 운전 상태에 대한 가시성 확보 및 운전 제약을 능동적으로 제어할 수 있으며, 유연한 배전망 운영을 지원하고 있다. 최근에는 DSO(Distribution System Operator, 배전계통 운영자) 역할에 대응하기 위해 ADMS와 상위 운영시스템(EMS, SCADA)과의 연계를 통해 송·배전 간 통합 운영체계를 확보하고, 배전망 내 분산형전원을 통합 운영하기 위한 ADMS 고도화 연구가 진행되고 있다.